- [성경본문] 사사기8:29-35 개역개정
-
29. 요아스의 아들 여룹바알이 돌아가서 자기 집에 거주하였는데
30. 기드온이 아내가 많으므로 그의 몸에서 낳은 아들이 칠십 명이었고
31. 세겜에 있는 그의 첩도 아들을 낳았으므로 그 이름을 아비멜렉이라 하였더라
32. 요아스의 아들 기드온이 나이가 많아 죽으매 아비에셀 사람의 오브라에 있는 그의 아버지 요아스의 묘실에 장사되었더라
33. 기드온이 이미 죽으매 이스라엘 자손이 돌아서서 바알들을 따라가 음행하였으며 또 바알브릿을 자기들의 신으로 삼고
34. 이스라엘 자손이 주위의 모든 원수들의 손에서 자기들을 건져내신 여호와 자기들의 하나님을 기억하지 아니하며
35. 또 여룹바알이라 하는 기드온이 이스라엘에 베푼 모든 은혜를 따라 그의 집을 후대하지도 아니하였더라
제공: 대한성서공회
사사기 8장 29-35절 말씀을 바탕으로
이스라엘 백성들이 하나님의 은혜를 잊고 영적으로 타락한 모습을 조명하며,
성도들에게 은혜를 기억하고 겸손하게 하나님만을 의지하는 삶을 살 것을 권면합니다 [
설교의 주요 내용은 다음과 같습니다:
망각의 동물인 인간과 은혜를 잊지 말아야 할 성도
사람은 시간이 지나면 슬픔, 고통, 기쁨, 감사 등 모든 것을 잊어버리는 '망각의 동물'이라고 불립니다 [
그러나 예수 그리스도를 믿는 하나님의 자녀들은 하나님의 은혜를 잊어서는 안 됩니다. 은혜를 잊는 것은 죄이며, 하나님의 은혜를 기억하는 것이 믿음의
기초입니다 [
우리가 예배하고 찬양할 수 있는 것, 가정을 이루고 살아가는
모든 것이 하나님의 은혜임을 강조합니다 [
기드온의 교만과 이스라엘의 영적 타락
기드온은 이스라엘 백성들에게 왕이 되라는 요청을 받았을 때 하나님이 통치자라고 겸손하게 고백했습니다 [
그러나 40년간의 평화로운 시대 이후, 기드온은 많은 아내와 첩을 거느리고 70명의 자녀를 두며 왕처럼
군림하는 교만한 모습을 보였습니다 [
특히 그의 아들 아비멜렉의 이름 뜻이 '나의 아버지는 왕이다'라는 점에서 기드온의 교만함을 엿볼 수 있습니다 [
기드온이 죽자 이스라엘 자손들은 하나님을 버리고 바알을 숭배하며 영적인 배신을 저질렀습니다 [
이는 기드온이 자녀들에게 믿음의 유산을 제대로 물려주지 못했기 때문이라고 지적합니다 [
교만을 경계하고 말씀을 가까이 할 것 사람들의 칭찬에 교만해지지 말고, 모든 것이 하나님의 은혜임을 기억해야 합니다 [
신명기 17장 17절
말씀을 인용하여 왕이 아내를 많이 두어 마음이 미혹되지 않도록 경고하며, 기드온의 모습이 이 말씀에
비추어 교만했음을 설명합니다 [
고린도전서 10장 12절
말씀을 통해 스스로 서 있다고 생각하는 자는 넘어질까 조심해야 한다고 강조하며, 우리가 서 있는 것은
하나님의 능력 때문임을 상기시킵니다 [
신명기 7장 18-20절
말씀을 통해 평생 말씀을 가까이 두고 여호와를 경외하는 것을 배우면 교만함이 사라진다고 권면합니다 [
하나님께로 돌아오고 믿음의 유산을 물려줄 것
이스라엘 백성들이 하나님의 은혜와 지도자들의 헌신을 잊어버린 것처럼, 우리도
무관심하지 말고 하나님이 사람을 통해 역사하신 은혜를 기억해야 합니다 [
교회에 올 때 사람을 의지하지 말고 하나님과 말씀을 의지해야 한다고 강조합니다 [
혼자 있을 때도 하나님이 함께하심을 믿고, 세상의 즐거움보다
하나님의 은혜를 더 갈망해야 합니다 [
자녀들에게 재산이 아닌 믿음의 유산, 즉 하나님의 은혜를 알려주어야
한다고 말합니다 [
욥의 고난 속에서도 하나님의 은혜를 고백했던 것처럼, 어떤 어려움
속에서도 하나님을 원망하지 말고 하나님의 뜻을 바라보아야 한다고 권면합니다 [
호세아 14장 1절
말씀을 인용하여 하나님은 죄악 가운데 있는 자들이 당신께 돌아오기를 기다리신다고 말하며, 문을 열고
주님을 찾을 것을 촉구합니다 [
자녀들을 위해 끊임없이 기도하여 그들이 세상에 흔들리지 않고 하나님의 자녀로 굳건히 서도록 해야 한다고
강조합니다 [
예배의 자리는 은혜와 회복, 기쁨과 하나님의 영광이 있는 자리이므로
예배를 사모하고, 삶의 모든 순간이 예배가 되어야 한다고 말합니다 [
결론적으로 설교자는 성도들이 하나님의 은혜를 기억하고, 교만을
버리며, 말씀을 가까이하고, 하나님만을 의지하며, 자녀들에게 믿음의 유산을 물려주는 삶을 통해 하나님께로 온전히 돌아올 것을 촉구합니다 [
댓글0개